본문 바로가기

책/혜부학

혜부학(20130329) 이원수: 동화를 중심으로

2013년 혜부학 발표

 

이원수: 동화를 중심으로

 

1. 간략 소개

 가. 연도별 소개

1911년생

 

1925년 소파 방정환과 만남

1926년 동시 <고향의 봄> 당선(<어린이> 4월호)

1981년 별세

. : 동원(凍原), 겨울들판 / 물오리: <겨울 물오리>, <아이들의 호수>

 

2. 일제강점기(~1945)

. 천사주의 천사주의+카프카문학

. 친일논란: 1940~1945 동시 두 편, 자유시 한 편, 수필 두 편

- <지원병을 보내며>(1942), 수필<전시하 농촌 아동과 아동문학>(1943)

<친일인명사전>3(2009)에 오름: 참회에 대한 구체적 기록은 없지만, 그 후의 삶을 살펴볼 것

 

3. 해방 후 그리고 한국전쟁과 한국사회

. 해방 직후 사회적 분위기(남한): 1948 남한 단독정부, 국가보안법1949 국민보도연뱅: 월북 또는 보도연맹가입을 선택

낙천적 천사주의: 자본주의적 유통구조 / 일제탄압에 대한 내용이 많지 않음

반공 이데올로기: 월남작가 중심

. 이원수

식민지, 전쟁 그리고 분단

-식민지 현실 속에서 고통 받는 아이들 <5월의 노래>(1950)

-자유와 새롭고 독립적인 국가 <숲 속 나라>(1949)

-분단을 세계정세 속에서 파악 <장난감과 토끼 삼형제>

-분단의 고통 <호수 속의 오두막집>(1969), <강물과 소녀>(1969), <늙은 바위 이야기>(1973)

-전쟁의 비극 <메아리 소년>(1968)

새로운 사회, 새로운 모순

-419혁명 <땅속의 귀>(1960)

-독재정권 <토끼대통령>(1963)

-노동문제 <불새의 춤>(1970)

그 외- <미미와 희수의 사랑>(1968), <골목대장>(1958), <장미 101>(1974)

 

5. 결론

친일논란의 이원수: 해방 후 그의 문학과 삶

해방 후 한국 동화의 흐름: 교육(교조)주의, 상업주의

2010년대 한국 동화의 흐름: 왜 이원수 동화는 우울하게 느껴지는가?

6. 참고문헌

-우리 동화 바로 읽기(이재복, 한길사, 1995): 얼음 어는 강물의 겨울 물오리(247~271)

-아동문학과 비평정신(원종찬, 창작과비평사, 2001): 이원수 판타지동화와 민족현실(118~139)

-같은 책: 한국 현대아동문학사의 쟁점(140~172)

-이원수와 한국 아동문학(이원수 탄생 백주년 기념논문집 준비위원회 엮음, 창비, 2011)

-위키백과 ko.wikipedia.org

 

 

이원수 발표.hwp

' > 혜부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혜부학(20140627) 우아한 거짓말  (0) 2015.09.20
혜부학(20140530) 책은 도끼다  (0) 2015.09.20
혜부학(20140425) 돈 끼오떼  (1) 2015.09.20
혜부학(20140328) 빨간 기와  (0) 2015.09.20
혜부학(20140228) 돈 끼오떼  (1) 2015.09.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