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보드게임/소개

러브레터

러브레터

 

 기본정보

 디자이너: Seiji Kanai

 시간: 10~20분

 인원: 2~4인 (2인 비추천)

 종류: 카드게임

 방식: 핸드관리, 추론

 난이도(초등학생 기준): 중

  *최상(고학년도 배우기 어려움), 상(5,6학년 가능), 중(3,4학년 이상 가능), 하(모든 학년 가능)

  *아이 특성에 따라 난이도가 맞지 않을 수 있습니다.

 

 

 [러브레터]의 장점은 '쉽고 재미있고 빨리 끝난다' 입니다.

특히 빨리 끝난다는 장점 때문에 아이들이 쉬는 시간 10분 동안 할 수 있는 몇 안되는 게임입니다. 덕분에 인기가 많죠.

 

 

 [러브레터]는 다양한 버전이 있습니다. 아래 사진보다 더 다양한 버전이 있을 뿐 아니라 [원피스], [어드벤쳐 타임], [던전 & 파이터] 등 자기 취향에 맞게 직접 만든 버전도 많습니다.

 

 

 

출처: 보드라이프, 실제로는 더 많다.

 

 

 

그 덕분에 취향에 맞는 게임을 할 수 있지요.

 

아이들과 해본 결과 고학년은 [러브레터: 호빗], 중학년은 [산타에게 보내는 편지]를 가장 좋아했습니다.

 

게임 방법과 구성품은 거의 같기 때문에 여기서는 [산타에게 보내는 편지]로 설명하겠습니다.

 

 

 

1. 게임 구성

 

 

 

 1~8까지 숫자가 쓰여진 카드가 합쳐서16장 있습니다.

하지만 공평하게 2장씩 있는건 아닙니다. 1번은 5장, 2번은 2장, 8번은 1장, 이런 식으로 카드 장수가 다릅니다.

 

 왼쪽에 보이는 큐브는 점수 1점 얻을 때마다 받는 큐브 입니다.

 사진에는 빠졌지만 게임하기 편하라고 참조표도 들어있습니다.

 

*주의: 위 사진과 다르게 [산타에게 보내는 편지]는 한글판이 아닙니다.

 

 

 

2. 게임 목적

 

 크리스마스가 되면 산타할아버지가 선물을 주시죠? 그런데 선물을 받기 위해서는 산타에게 편지를 써야 합니다. 내가 얼마나 착한 아이고 당신은 내게 선물을 줄 수밖에 없다~는 편지죠.

 

 그런데 문제는 편지를 직접 전하기 어렵다는 거에요. 그래서 다른 사람들에게 도움을 요청해서 산타에게 편지를 전해줘야죠.

 

 라운드에서 이기면 편지 한 통을 전해주었다는 의미로 빨간 큐브를 한 개 얻습니다.

 게임 인원에 따라 승리 조건인 전해주어야 하는 편지 갯수가 달라지죠.

 

 재미있는 사실은, 분명 난 착한 아이라고 편지를 썼는데 사실 선물은 경쟁자를 물리친 아이가 받는다는 것. 역시 착한 아이가 선물을 받는게 아니었어.

 

 

 

 

 * [러브레터] 한글판. 원래 버전은 공주에게 편지를 전해주는 거에요. 출처: 보드엠

 

 

 

3. 게임 방법

 

 이게 어떤 게임이구나~ 느끼실 정도로만 간단히 설명하겠습니다.

 

게임 준비

카드를 아무도 모르게 한 장 빼놓습니다.

모두 카드를 한 장씩 받습니다.

 

라운드 순서

1. 먼저 시작하는 사람이 더미에서 카드를 한 장 추가로 받습니다.

2. 손에 들고 있는 두 장 중 한 장을 선택해서 내려놓습니다.

3. 내려놓은 카드는 곧바로 특수 능력이 발휘됩니다.

   *이 특수 능력에 따라 누군가 탈락할 수도 있습니다.

4. 다음 사람이 1~3을 합니다.

5. 이렇게 계속 돌다가 카드 더미에 카드가 떨어지면 한 라운드가 끝납니다.

 *살아 남은 모든 사람들은 가지고 있는 카드 번호를 비교해서 가장 높은 사람이 라운드 승자가 됩니다. 승자는 큐브를 하나 받습니다.

 

게임 종료

큐브 갯수가 승리 조건이 될 때까지 라운드(1~6)를 반복합니다.

(2인: 7개, 3인: 5개, 4인 4개를 모아야 승리)

 

 

 카드 특수 능력에는

'상대방 한 명의 카드를 볼 수 있습니다.'

'상대방 한 명과 카드를 바꿉니다.'

등이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숫자가 낮을 수록 능력이 좋고, 숫자가 높을 수록 능력이 안좋아 집니다.

하지만 마지막에 숫자로 대결하기 때문에 높은 숫자 카드를 가지고 있을수록 좋죠.

 

 

자세한 설명은 보드라이프 Antique님의 동영상을 보아 주세요.

요기에 링크 (산타 버전이 아닌 어드벤처타임 버전 이지만 게임 규칙은 같습니다).

 



4. 추론 능력

 설명은 간단한데 생각보다 생각할 것들이 있습니다.

 특히 1번 카드 능력은

'다른 누군가를 지목해서 그 사람이 어떤 카드를 가지고 있는지 예상합니다. 맞으면 그 사람은 탈락합니다.' 입니다.

 

단순히 '찍기' 같지만 그렇지 않습니다.

문제를 통해 알아봅시다.

 

[문제]

아래 사진과 같이, 4명이 게임하다가 A와 나만 남은 상황입니다.

내 차례에 더미에서 한 장을 가져가니 더이상 남은 카드가 없습니다.

즉 내가 마지막 차례라는 뜻입니다. 

 

<사진 1>

 

 

 내 손에는 원래 있던 1과 지금 뽑은 4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제 공개가 안 된 카드는 2장 뿐입니다. 한 장은 A가 가지고 있고, 한 장은 처음 시작할 때 아무도 모르게 빼 놓은 카드 입니다. 

 

<시진 2>

 

 

나는 '1. 크리스마스 도깨비' 카드를 사용해서 A를 탈락시키려고 합니다. 나는 몇 번 카드를 불러야 이길 수 있을까요?

 *'1. 크리스마스 도깨비' 카드의 특수 능력

한 명을 지목해서 상대방 카드를 추측합니다(크리스마스 도깨비 제외). 추측이 맞았다면 상대방은 탈락합니다.

 

(힌트)

참조표를 보고 원래 카드 장수를 확인합니다. 그리고 <사진 1>을 보고 지금까지 나온 카드 장수를 확인합니다.

그러면 어느 카드가 몇 장 남았는지 알 수 있습니다.

 

 

[풀이]

 

이제 추론의 시간입니다.

일단 어느 카드가 몇 장 남았는지 알아야 합니다.

원래 장수 카드 - 사용 카드 장수 = 남은 카드 장수

 

 

종 류 

원래 카드 장수(참조표 확인) 

사용 카드 장수 

남은 카드 장수 

 1. 크리스마스 도깨비

4

1

 2. 사슴, 루돌프

2

1

3. 쿠키 인간 

2

0

 4. 눈사람

1

1

 5. 장난감

2

0

 6. 요정

0

1

7. 산타 할머니 

1

0

8. 산타 할아버지 

1

0

 

1, 2, 4, 6번 카드가 각 한 장씩 남아 있습니다.

하지만 내가 1번과 4번 카드를 가지고 있으니 (<사진2> 참고)

상대방은 2번 아니면 6번 입니다.

 

 

 라운드 시작할 때 카드를 한 장 빼놓기 때문에 상대방이 2인지 6인지 모릅니다.

 

이제 선택해야 합니다. 2번? 6번?

 

 

[답]

 

답은 6번을 선택해야 합니다.

 

경우의 수는 4가지 입니다.

 

경우 1 내가 2번을 불렀는데 상대방 A가 2번을 가지고 있을 경우: 내가 승

경우 2 내가 2번을 불렀는데 상대방 A가 6번을 가지고 있을 경우: 내가 패

경우 3 내가 6번을 불렀는데 상대방 A가 6번을 가지고 있을 경우: 내가 승

경우 4 내가 6번을 불렀는데 상대방 A가 2번을 가지고 있을 경우: 그래도 내가 승

 

 위 경우의 수처럼 2번을 부르면 이길 확률이 50%지만, 6번을 부르면 이길 확률이 100% 입니다.

 경우 4가 조금 이상하죠? 이게 어떻게 가능하냐고요?

  내가 마지막 차례기 때문에 내 순서가 끝나면 카드 숫자를 겨루게 됩니다. 나는 비록 상대방 카드를 맞추지는 못했지만 마지막 카드 숫자 대결에서는 내가 이기게 됩니다. (나는 4, 상대방은 2)

 하지만 반대로 내가 2를 불렀는데 상대방이 6을 가지고 있다면, 마지막 카드 숫자 대결에서 내가 패하고 맙니다.

 

 그래서 답은 6 입니다~

 

 

뭔가 굉장히 복잡하게 설명한 것 같은데, 조금만 생각해보면 금방 이해하실 수 있습니다.

이렇게 [러브레터]는 추론 능력을 길러주는데 도움이 됩니다.

 

 

 

5. 한글화

 

 언어는 한글이 아니라 영어로 되어 있습니다.

 간단한 영어라서 게임을 하는데 지장은 없습니다만, 아이들과 게임을 할 때는 다릅니다.

 몇 글자 안되더라도 영어보다는 한글이 좋거든요.

 

 그래서 한글화 시켰습니다.

 

*참고로 캐릭터 이름은 의역했고 카드 아래에 원래 이름을 적어 두었습니다.

 

1. 크리스마스 도깨비: 원래 이름은 Krampus. 크리스마스 때 나쁜 어린이에게 벌을 준다는 녀석 입니다. 원문 그대로 번역할까 하다가 아이들에게는 '크리스마스 도깨비' 정도가 잘 어울릴 것 같아서 이렇게 지었습니다.

 

2. 사슴, 루돌프: 원래 이름은 Reindeer 입니다. 하지만 누가 봐도 루돌프죠?ㅋ

 

3. 쿠키 인간: 원래 이름은 Gingerbread Man 입니다. 진저 브래드맨은 유명한 이름이라서 원문을 사용할까 말까 고민했습니다. 하지만 그냥 쿠키 인간으로 바꿨습니다.

 

4. 눈사람: Snowman은 눈사람이죠~

 

5. 장난감: Toys도 장난감이죠~

 

6. 요정: 원래 이름은 Elf 입니다. 엘프가 아무리 많이 알려졌어도 아이들에게는 요정이 더 친숙할 것 같아서 요정이란 이름을 붙였습니다.

 

7. 산타 할머니: Mrs. Claus 라는 이름인데 그냥 산타할머니가 더 친숙해서 이름을 바꿨습니다.

 

8. 산타 할아버지: Santa Claus를 산타 클로스라고 해도 되지만, 산타 할머니와 오붓하게 이름을 맞춰서 산타 할아버지가 되었습니다.

'보드게임 > 소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컬러풀 세렝게티  (0) 2015.10.20
크레이지 타임  (0) 2015.10.13
미로게임 라비린스  (0) 2015.10.13
완구형 게임 다섯 가지  (0) 2015.10.12
미니빌  (0) 2015.09.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