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루즈 패밀리
크리스 샌더스 / 커크 드 미코 감독, 2013년
출처: DAUM 영화
역사 > 선사시대
역사는 상상이다
선사시대란 말 그대로 역사시대 이전의 시대를 말합니다. 그리고 선사시대와 역사시대를 구분하는 기준은 불, 철 등을 사용했는가가 아니라 문자를 사용했는가입니다. 문자를 사용해서 ‘역사’를 남겼으면 역사시대, 문자가 없어서 ‘역사’를 남기지 못했으면 선사시대(先史時代, the prehistoric age)라고 하죠.
그렇기 때문에 선사시대에 실제로 어떤 일이 벌어졌는지는 누구도 확신할 수 없습니다. 남아있는 유적으로 추측을 할 뿐이죠. 그래서 초등학교에서 배우는 선사시대 이야기는 매우 짧을 수밖에 없습니다.
하지만 다르게 생각하면 선사시대만큼 상상하기 좋은 시대도 없습니다. 아는게 적을수록 상상의 영역은 더 크게 자리잡을 수밖에 없으니까요.
<크루즈 패밀리>는 선사시대를 상상한 유쾌한 영화입니다. 그래서 역사를 배우는 아이가 있다면 이 작품을 꼭 권하고 싶습니다.
역사를 상상한 영화, <크루즈 패밀리>
발명품 뿐 아니라 영화 배경도 상상 가득이다. 여기가 지구라니! (출처: 네이버 영화)
쳇, 선사시대에도 우산쓰고 연애했구먼. (출처: 네이버 영화)
이런거는 자제하자. 정말 하고 싶으면 어쩔 수 없지만. (출처: 네이버 영화)
<크루즈 패밀리>는 발명 뿐 아니라 인류가 어떻게 발전해 왔는지에 대한 발자취도 남겨져 있습니다. 영화에서 크루즈 가족은 ‘구인류’로, 가이는 ‘신인류’로 묘사됩니다.
이제 이 신인류 가이가 보여준 다양한 발명품들이 인류를 어떻게 바꿔왔는지 아이들에게 이야기를 해줄 시간입니다.
먼저, 불은 인류 역사에서 엄청난 발명입니다. 그리스 신화에서도 프로메테우스가 인간에게 불을 전해주는 장면은 인상 깊습니다. 불의 발명으로 인간은 어둠 속에서도 동물의 위협에서 보호 받을 수 있다든지, 음식을 익혀 먹을 수 있게 됩니다.
또 사는 곳에 따라 삶의 방식이 완전히 달라지는데 동굴에서 인류가 나오게 된다는 것은 중요한 의미입니다. 크루즈 가족들은 동굴 속에서 절대 나오지 않잖아요. 그러다가 여차여차해서 동굴 밖으로 나오는데, 이건 인류가 동굴 밖으로 나온 것을 상징적으로 표현한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잉여 생산물에 대한 것도 나옵니다. 가이는 크루즈 가족들이 사로잡은 동물을 다 먹어치우자 많을 때 음식을 많이 남겨 두어야 한다고 말합니다. 그에 대한 대답으로 크루즈 가족들은 ‘우린 먹을 걸 남긴 적이 없어’라고 말하죠. 이들의 짧은 대화를 통해 ‘음식물 저장’이라는 매우 중요한 개념을 가이는 이해하고 있었고 크루즈 가족은 이해하지 못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하긴 이해하고 있었다 하더라도 남길 음식이 없었을지도 모르죠.
영화에서는 이렇게 퉁쳐서 말하긴 했지만 음식물을 저장한다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집니다. (아마도) 교과서에서도 언급되었듯이 음식을 저장하고 음식이 남게 되면서 '전쟁'과 '계급'이 본격적으로 이루어지기 시작합니다.
이렇게 영화는 잠깐씩이지만 인류에 대한 발자취를 새겨 두었습니다. 영화를 보고나서 이런 이야기들을 나누면 역사에 더 재미있게 다가갈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해봅니다.
여기서는 애완동물처럼 묘사되지만, 동물을 길들인다는 것도 중요한 의미가 있다.
길들여진 여러 동물들은 농경, 사냥, 방범(watch) 등에 사용되었다. (출처: 네이버 영화)
맺는 글
저는 역사 공부에서 합리적 상상을 중요하게 생각합니다. 상상이 합리적이 되려면 사료를 분석하고 지금까지 학자들이 이야기한 자료를 들추어보아야 합니다. 또 이것이 상상으로 이어지려면 상상하는 연습을 많이 해야 합니다.
역사 첫 시간, 영화 <크루즈 패밀리>를 보면서 합리적 상상에 대한 이야기를 아이들에게 해주는 것은 어떨까요?
그 시절 그 사람들은 어떻게 살았을까? 상상은 즐겁다. (출처: 네이버 영화)
'영화 > 수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건수업] 이해하기 (5) 사실을 기록한 글(영화) (0) | 2016.07.25 |
---|---|
[사건수업] 이해하기 (3) 내용 간추리기, (4) 줄거리 쓰기 (2) | 2016.04.17 |
[준비] 영화 수업 준비하기(5) 이것만은 기억해 주세요. (0) | 2016.03.27 |
[국어, 창체] 프리키 프라이데이 (0) | 2016.03.21 |
[환경] 투모로우 (2) | 2016.03.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