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보드게임/소개

스플렌더

스플렌더 Splendor


 기본정보

 디자이너Marc André

 출판년도: 2014년

 시간: 30~40분

 인원: 2~4인

 방식: 세트 모으기(Set Collection)

 난이도(초등학생 기준): 하

  *최상(고학년도 배우기 어려움), 상(5,6학년 가능), 중(3,4학년 이상 가능), 하(모든 학년 가능)

  *아이 특성에 따라 난이도가 맞지 않을 수 있습니다.






총평: 배우기는 쉽고, 고민은 적당히 하고, 이기기는 어려운 게임



 <스플렌더>는 입문자용 보드게임으로 유명합니다. 쉽게 배울 수 있는 게임이지만 생각 없이 해서는 안 되는 게임이기도 합니다. 하지만 그 생각의 깊이가 너무 깊어질 필요가 없는, 적당한 고민을 할 수 있는 게임이죠.

 또 게임에서 이기기는 어려운 편인데, 그렇다고 점수 차이가 많이 나지도 않습니다. 1, 2점 차이로 안타깝게 지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기 때문에 처음 게임을 하면서도 "한 판 더 해"를 외치는 경우가 많습니다.


 처음에 이 게임이 나왔을 때는 구성물에 비해 지나치게 비싸지 않냐는 지적이 있었습니다. 가격 상승의 주범은 보석 토큰인데 아래 사진으로만 보면, '그냥 카드로 만들어서 단가를 낮추지'라는 생각이 들기도 합니다.


보석 토큰은 금(조커, 노란색), 에메랄드(녹색), 다이아몬드(하얀색), 사파이어(파란색), 루비(빨간색), 오닉스(검은색)를 뜻한다. 하지만 게임하다보면 그냥 녹색, 파란색 등 그냥 색으로 말하는 경우가 많다.


 그런데 실제로 들어보면 '생각보다 묵직하다'라는 느낌이 듭니다. 덕분에 게임을 할 때면 보석 토큰을 만지작거리는 습관이 들곤 합니다.


 이런 장점들이 잘 짜여 있는 <스플렌더>라서, 초등학교 1학년 아이들과도 할 수 있지만 오히려 성인들이 더 좋아하는 게임입니다.


 그렇다고 장점만 있는 건 아닙니다.

 먼저, 건조한 게임입니다. 보드게임에서 '건조'하다는 것은 게임 참가자들 사이에 대화가 많이 이루어지지 않는 게임이라는 표현입니다.

게임 설명을 보시면 아시겠지만, 이 게임은 정해진 점수를 얻기 위해 가장 효율적인 선택을 해야 하는 게임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다른 사람들과 서로 대화할 필요가 거의 없고 말소리 대신 잘그락 소리(보석 토큰 만지는 소리)만 들릴 때가 많습니다.


 다음은 주제(thema)가 마음에 와 닿지 않습니다. 효율적인 선택을 해야 하는 게임이라서 카드를 펼쳐 놓아도 색깔과 숫자만 눈에 띌 뿐, (자세히 보면 수려한) 일러스트는 전혀 보이지 않습니다.

 보석 토큰도 에메랄드를 에메랄드라 부르지 못하고 그냥 녹색이라고 부릅니다. 이게 에메랄드건 나뭇잎이건 슈렉이건 헐크건 중요하지 않거든요. 그냥 녹색이 몇 개 있어야 저 카드를 살 수 있는가만 생각하는 게임이기 때문이죠.


1단계 카드는 보석을 캘 수 있는 '광산'을 뜻한다.

그런데 여기가 사막이든 바다든 화성이든 아무 상관이 없게 느껴진다. 멋진 일러스트가 아깝다.

참고로 2단계 카드는 보석을 운반하는 '운송수단', 3단계 카드는 원석을 세공할 '장인'을 뜻한다.


 저는 보드게임을 하면서 일부러 말을 많이 하는 편이고, 몰입할 수 있는 주제를 가진 보드게임을 좋아합니다. 그래서 <스플렌더>를 좋아하는 편은 아닙니다만, 누가 집에 와도 무난하게 돌릴 수 있는 게임이기도 하고 아이들도 쉽게 배울 수 있어서 방출하지 않은 보드게임 입니다.



게임 방법


 '깔맞춤전략'님의 게임 설명 동영상

 '코리아보드게임즈'에서 제공하는 게임 설명 동영상


 '코리아보드게임즈'에서 한글판으로 유통한 게임입니다. 하지만 영문판이나 다국어판을 사셔도 게임에 언어요소가 없기 때문에 전혀 상관없습니다. 다만 설명서가 한글판만 한글로 되어있습니다. 그래서 혹시 한글판이 아닌 <스플렌더>를 구입하신 분들을 위해 '프리빈'님이 한글로 번역한 설명서도 링크 합니다.

 '프리빈'님의 한글 설명서



게임 준비 모습


 자기 차례 때 할 수 있는 행동은 3가지가 있습니다. 셋 중 하나를 골라서 행동을 하고 점수를 15점 얻으면 처음 게임을 시작한 사람 전까지 한 번씩 게임을 하고 마칩니다.


① 보석 토큰 가져오기

 같은 색깔 2개나 다른 색깔 3개를 가져와서 자기 앞에 보관하면 됩니다. 보관할 수 있는 토큰은 최대 10개 입니다.


② 개발 카드 구입하기

 내가 가지고 있는 보석으로 개발 카드를 구입합니다. 보석은 개발 카드를 구입한 뒤 버려야 합니다. 구입 방법은 사진으로 설명하겠습니다.


 카드에 그려진 보석 개수를 맞춰서 보석 토큰을 내면 됩니다. 쉽죠?


다이아몬드 1개, 사파이어 1개, 에메랄드 1개, 루비 1개를 내면 된다.


 그런데 점수도 없는 저런 카드를 왜 살까요? 이유는 크게 두 가지입니다.

 첫 번째는 귀족과 관계있는데 이건 나중에 설명하겠습니다.

 다음은, 카드에서 얻게 된 보석은 보석 토큰과 다르게 계속 사용할 수 있습니다. 위 사진대로라면 오닉스 1개를 게임 내내 사용할 수 있는 거죠.

 물론 같은 보석 카드가 여러 장이라면 모두 적용됩니다. 예를 들어 루비가 5장 있다면 루비 토큰 5개의 가치를 가지고 있는 겁니다.


오른쪽 카드(2점)를 구입하기 위해서 오닉스가 4개는 필요한데 이미 오닉스 카드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오닉스 토큰을 3개만 지불하면 된다. 물론 가지고 있던 오닉스 카드는 버리지 않는다.


오닉스와 사파이어 카드를 한 장씩 가지고 있기 때문에 각 보석 토큰을 하나씩 덜 지불한다.



③ 개발 카드 보관(keep)하기

 개발 카드 한 장을 금 토큰과 함께 그냥 가져올 수 있습니다. 금 토큰은 조커 역할을 하기 때문에 어떤 보석이든 대신할 수 있습니다. 단, 이건 바로 점수가 되는 것이 아니라 보관만 한다는 개념이어서 점수를 얻기 위해서는 따로 구입을 해야 합니다.

 어? 그럼 개발 카드도 가져오고 금도 얻을 수 있으니까 참 좋네~ 라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더 많은 보석을 가져올 수 있는데 금 하나만 가져오게 되고, 가져온 개발카드를 다음 순서에 따로 구입해야 '순서 낭비'가 되기도 합니다. 기회비용을 잘 생각해서 개발 카드 보관하기 기능을 사용해야 합니다.

 참고로 개발 카드 보관은 최대 3장까지만 가능합니다.


 이제 귀족 카드만 설명하면 됩니다.

 귀족 카드는 살 수 없습니다. 때는 바야흐로 르네상스 시대. 감히 귀족을 매수하려 하다니 어렴성 없죠. 귀족은 당신이 유명해지면 그냥 방문해 주십니다.

 그래서 자기 차례에 할 수 있는 행동과는 별개로 일정 조건이 갖춰지면 귀족 카드를 얻게 됩니다.


내가 원하는 보석이 있으면 가게에 친히 방문하여 네 명성을 높여 주리라.


 귀족 카드는 개발 카드와 다르게 빈자리가 채워지지 않습니다. 처음 무작위로 뽑은 5장만 게임에서 사용합니다. 그리고 점수가 3단계 카드에 비하면 별로 커 보이지 않지만, 공짜로 얻을 수 있기 때문에 귀족 카드를 가진 사람이 승리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팁: 말하라


 게임을 하다보면 내게 꼭 필요한 개발 카드를 앞에서 쏙쏙 뽑아가는 경우가 많이 생깁니다.

 안 그래도 대화가 없이 잘그락 소리만 들리는 게임인데 '아, 저거 내가 꼭 가져가야 하는데'라며 속으로 생각하기 보다는,

 "야야, 그거 내껀데 왜 가져가냐~" 라든가, 앞에서 먼저 가져갈 것 같은 개발 카드가 있으면 "다들 저 카드 건들지 마라~" 같이 말하면서 게임을 해보세요.


 조용한 거 좋아하시는 분들은 어쩔 수 없지만, 어처구니없는 말이라도 막 던지면서 게임하면 건조한 게임 속에 쾌활한 활기가 들어가기도 합니다.



팁: 순서를 정하라


 첫 게임이 끝나고 '한 번 더 해요~'라는 말을 아이들이 한다면, 이전 게임 꼴등부터 먼저 하도록 정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게임 차례가 늦을수록 자기가 필요한 개발카드를 앞선 참가자들이 쏘옥 쏘옥 가져가기 때문에 불리해지기도 합니다.

 그래서 게임 꼴등이 이번 게임에서는 가장 먼저 시작하게 합니다. 이렇게 역순으로 순서를 정하다보면 1등 했던 사람은 가장 늦은 차례가 됩니다.





틀리기 쉬운 규칙


 1. 게임을 준비할 때, 귀족 카드는 게임 인원 +1장으로 준비합니다.

 2. 게임은 15점이 먼저 되었다고 끝나지 않습니다. 누군가 15점이 되면, 게임 순서가 가장 늦은 사람까지 순서를 진행하고 게임을 마칩니다. 그리고는 점수가 가장 높은 사람이 이기게 되죠.

4명이 게임을 한다고 예를 들어볼게요. 게임 순서는 철수-영희-훈이-순이고요. 그런데 게임 중 영희가 15점이 되었습니다. 그러면 훈이와 순이는 한 번씩 차례가 돌아오고 게임이 끝납니다. 만약 순이가 16점이 되었다면 순이가 승리하게 되는거죠.


'보드게임 > 소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카드라인- 동물편  (0) 2016.01.30
'라인' 시리즈: 카드라인 + 타임라인  (0) 2016.01.30
아키올로지: 카드게임  (0) 2016.01.28
딕싯  (0) 2016.01.24
뱅! 주사위 게임  (2) 2016.01.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