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수업

[준비] 영화 수업 준비하기(4) 예절과 당부

708호 2016. 3. 11. 04:19

영화 수업 준비하기(1) 장소

영화 수업 준비하기(2) 영화 선택과 준비

영화 수업 준비하기(3) 학습지

영화 수업 준비하기(4) 예절과 당부

영화 수업 준비하기 (5) 이것만은 기억해 주세요.



영화 수업 준비하기: 예절과 당부



1. 예절


 극장에서 영화를 보다보면 심하다 싶을 정도로 예의가 없는 아이들을 만나게 됩니다. 떠들고 장난치고 자리에서 일어나기도 하고요.

 그래서 어차피 영화 수업 하니까 극장 예절도 함께 알려주면 좋습니다.



출처: 아이파크 에티켓편


① 기본 예절

 앞 사람을 발로차지 마세요, 다른 사람과 떠들지 마세요, 기지개를 크게 펴거나 자리에서 일어서지 마세요.

 이 당연한 일들은 아무도 이야기하지 않기도 합니다. 그래서 가끔 이 예절에 대해 모르는 아이들도 있죠. 꼭 이야기 해주세요.


② 화장실

 가급적 중간에 화장실은 가지 않도록 합니다. 1, 2학년 아이들은 어쩔 수 없지만 3학년 이상이라면 쉬는 시간에 미리 화장실을 다녀올 수 있도록 합니다.

 중간에 화장실을 가면 흐름이 끊기는 자신도 손해일 뿐 아니라 다른 친구들에게도 방해가 됩니다.

 참고로 1, 2학년 아이들과 100분 정도 장편 영화를 보려면 중간에 한 번 쉬는게 좋습니다. 시간에 맞춰 쉬기 보다는 영화 흐름에 맞춰 쉬면 더 좋습니다. 그래서 수업 전 미리 영화를 볼 때 언제 쉴지 생각해두면 좋을 것 같습니다.


③ 스포일러

 절름발이가 범인이다~ 유명한 스포일러죠.

 아무리 다음 내용을 말하고 싶어도 다른 친구들을 위해 참을 수 있는 마음을 가지자고 이야기 합니다. 그리고 때론 영화를 본 친구에게 이어지는 내용을 물어보는 친구도 있습니다.

 "묻지도 대답하지도 말자~"고 이야기 해주세요.

 참고로 아이들이 스포일러란 말을 모르기 때문에 스포일러가 뭔지에 대해 먼저 설명해주면 좋습니다.


④ 음식

 먹는게 문제가 아니라 음식 때문에 소란이 일어날 수 있기 때문에 저는 음식을 가져오지 못하게 합니다. 영화보다 음식에 집착하는 아이들도 있고, 친구에게 음식을 달라고 손을 뻗거나 안 준다고 화내거나 음식 떨어 뜨려서 주변 친구들에게 피해가 되거나 또는 음식을 먹어서 화장실을 가고 싶기도 하는 등 다양한 문제가 생깁니다.

 그리고 아이들에게 늘 이야기하지만, 영화를 보는 시간은 '수업 시간'이라는 사실도 말해 줍니다.

 물론 영화 수업을 여러 번 거치면서, 영화 보는 태도가 좋고 훈련이 되어 있다면 허용할 수도 있습니다.


⑤ 감정

 영화를 보면서 웃는 행동은 자연스럽습니다. 그런데 영화를 보면서 우는 행동은 아이들 사이에서 자연스럽지 않습니다. 우는 아이가 있으면 아이들은 '쟤 왜 울어?', '누구?', '야야, ㅇㅇ이 운다' 등의 말들을 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영화 수업을 하기 전에 꼭 말해 주어야 할 부분이 감정, 특히 우는 것에 대한 이야기 입니다.


 '슬픈 일에 우는 것은 자연스러운 행동이다. 오히려 영화를 보며 잘 우는 아이는 공감 능력이 뛰어난 아이다.'

 '울고 있는 아이를 쳐다보거나 위로하지 마라. 그 아이는 영화에 흠뻑 빠져서 혼자만의 시간을 갖고 있는 중이다. 그 아이를 방해하지 마라.'

 '선생님은 영화를 보면서 잘 울음이 안 나온다. 그래서 영화를 보며 눈물을 흘리는 아이를 보면 부러운 생각이 든다.'


 이 정도만 이야기해도 아이들은 잘 이해합니다. 그리고 영화를 보면서 울었던 아이가 있으면 칭찬을 해줍니다. 감정이 건강한 아이라고요.




2. 당부


 영화 수업을 시작하기 전에 아이들에게 해야 할 당부 입니다. 제 경험에 의한 것이기 때문에 적절히 더하거나 빼거나 응용해서 아이들에게 말하면 될 것 같습니다.



"신신당부'에 쓰인 '신' 자는 한자로 申(거듭 신)을 써요. '거듭'은 '여러 번 되풀이하여' 라는 뜻인데, 이 '신' 자가 두 번이나 들어가 '신신당부'라고 했으니 '여러 번 당부하고, 또 다시 여러 번 하는 당부'라는 뜻이지요. 누군가 '신신당부'를 하면 꼭 기억해 두어야 하겠지요?" (글/그림 출처: ZUM 학습백과)

애들아~ 신신당부할게~~~



① 영화 수업은 노는게 아니라 수업이다.

 영화 수업을 한다고 하면 노는 것이라고 생각하는 아이들이 있습니다. 그래서 영화 수업은 영화를 활용할 뿐이지 결코 노는 시간이 아니라고 당부해 둡니다.

 가끔 영호 수업을 오해하는 학부모님도 있습니다. 이를 위해서라도 아이들에게 꼭 이야기해야 합니다.


② 하지만 볼 때는 즐겁게 보자.

 수업 = 재미없다는 공식을 깨보자고 합니다. 이왕이면 즐거운 수업이 좋잖아요. 그래서 아이들에게 영화보기는 수업 활동 이지만, 즐거운 수업이라고 말해줍니다.


③ 그리고 이왕이면 수업 목표를 염두해두며 보자.

 좋은 영화를 재미있게 보기만해도 저는 어느 정도 교육적 성과가 있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좋은 문학 작품을 읽는 것 자체가 훌륭한 교육이 될 수 있듯이 말이죠.

 하지만 이왕이면 계획한 수업 목표까지 달성하면 더 좋겠죠. 수업 목표를 제시하고, 줄거리도 미리 이야기해주는 이유가 수업 목표 달성을 위해서 입니다.

 저는 아이들에게 영화는 충분히 즐기되, 수업은 평소보다 더 열심히 하자고 독려해 주었습니다.




다음 글

영화 수업 준비하기 (5) 이것만은 기억해 주세요.